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건 및 출생연도별 조기수령나이, 신청방법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조기수령 시 매년 6%, 최대 30%까지 감액하여 지급되니 정확히 계산해서 어떻게 지급받는 것이 현명한 방법인지 모든 상황을 고려하셔서 현명한 연금계획 세우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건 ✔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이상이고 ✔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아야 하며 (월 2,861,091원 이하 / 2023년 기준) ✔ 만 56세 이상 60세 이하 ✔ 소득이 있는 업무 소득세법 따른 사업소득금액, 근로소득금액을 합산한 금액을 당해연도 종사 개월수로 나눈 금액이 전년도 연말기준으로 산정된 연금수급 전 3년간의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2023년도 기준 월 2,861,091원) 보다 많은 경우 소득이 있..

주택연금은 평생거주를 하고 평생연금을 받으면서 가입자 사망 후에도 동일한 연금을 지급하고 부부 모두가 사망하였을 시 연금 지급이 종료됩니다. 이때 주택 처분 가격이 부족하면 공사가 부담을 하고 주택 처분 가격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상속하게 됩니다. 주택연금 가입대상 및 현재 보유중인 주택 시세를 확인하여 주택연금 수령액을 확인해 보셔서 정밀한 노후 준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주택연금 가입대상 ✔ 부부 중 한 명이 만 55세 이상 ✔ 부부 중 한명이상 대한민국 국민 ✔ 부부 합산 기준 공시가격 9억 이하의 주택을 소유 ※ 다주택자는 주택 공시가격 9억 원이하라면 가입이 가능하고, 공시가격 9억 원을 초과하는 2 주택자도 거주하지 않는 주택을 3년 이내에 처분하는 조건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 ..

국민연금 지급개시연령이 상향조정이 되어 만 60세가 아닌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이 다릅니다. 정확한 지급연령을 확인하시고 은퇴 후 국민연금 수령 시까지 공백기간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은퇴 후 연금지급 시까지의 공백기간의 자금 계획하지 않고 은퇴를 한다면 여유로워야 할 노후가 돈으로 인해 힘든 노후가 준비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노령연금) 수령나이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이 된 때에 기본연금액과 부양가족연금액을 합산하여 평생 동안 지급하는 연금입니다. ▶ 국민연금 지급개시연령 출생연도 지급개시연령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 1953년 ~ 1956년 61세 56세 1957년 ~ 1960년 62세 57세 1961년 ~ 1964년 ..

에너지 캐시백은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사용량을 줄이면 캐시백을 드리는 사업입니다. 전기를 절약해서 전기요금도 줄이고 환경에 도움을 주고 캐시백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귀찮다고 그냥 지나치시면 못 받는 돈이므로 일단은 꼭 신청하셔서 캐시백 받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 캐시백 혜택 ✔ 기본캐시백 지급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의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할 경우 👉 절감량 1 kWh당 30원을 지급(단, 절감률 30%한도) ✔ 차등캐시백 지급 동일지역 참여자의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 시 30% 한도로 하여 👉 절감률 구간별로 1 kWh당 30 ~ 70원 차등 지급 (절감률 5% 이상 ~ 10% 미만: 1 kWh당 30원 지급 / 절감률 10% 이상 ~ 20% 미만:1 kWh당 50원 지급..

여름철 폭우로 인하여 침수차량이 발생합니다. 여름철 장마기간이 지나면 침수차량이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 중고차량을 구매할 계획이 있으시다면 침수차량 조회방법 및 구별법을 꼭 확인하시고 차량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침수차량 조회 및 구별법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이 차량을 구매하게 되면 침수차량을 나도 모르게 구매하고 금전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어려운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침수차량 조회방법 1. 구글 검색창에 카히스토리를 입력합니다. 2. 무료침수사고조회를 확인합니다. 3. 띄어쓰기 없이 차량번호를 입력(12가3456) 후 조회하기를 확인합니다. 4. 침수사고 조회결과 침수차량이 아닌경우 위와 같이 "침수사고내역이 없습니다."라고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무료침수사고 조회 자동차 보험사고자..

공무원연금 수령시기가 만 60세로 많이 알고 계신데요. 96년 이후 임용자부터 공무원 연금 수령시기가 늦어집니다. 연금개혁으로 공무원연금 수령액이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무원연금만 믿다가는 노후에 조금 힘들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공무원연금수령시기 확인해 보시고 공백 및 부족한 금액은 얼마일지 어떻게 보완을 해야 할지 미리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시기 ✔ 공무원연금은 10년 이상 재직하고 퇴직한 경우에 연금개시연령부터 사망 시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1996년 1월 1일 이후 임용자부터는 65세로 단계적으로 수령시기가 늦춰집니다. 퇴직연도 연금 개시연령 2016년 ~ 2021년 60세 2022년 ~ 2023년 61세 2024년 ~ 2026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