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민연금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나 가입자였던 분 등이 돌아가셨을 때 남겨진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지급되는 급여인데요. 가족 중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있던 분이 있거나 가입 중에 계시다면 유족연금 수령조건 및 수령액 등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급하게 알아보면 놓치는 부분이 발생하여 금전적 등으로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조건
✔ 아래에 해당하신 분이 사망한때 수령가능 합니다.
1. 노령연금 수급권자
2. 장애등급 2급 이상의 장애연금 수급권자
3.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
4. 연금보험료를 낸 기간이 가입대상기간의 1/3이상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
5. 사망일 5년 전부터 사망일까지의 기간 중 3년 이상 연금보험료를 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
단, 전체 가입대상기간 중 체납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는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사망한 경우 유족연금액은 사망하신 분이 지급받던 노령연금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노령연금 지급연기로 인하여 가산된 금액은 유족연금액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 2016년 11월 30일 이후 돌아가신 분 중 연금보험료를 낸 기간이 가입대상기간이 1/3 이상인 가입자나 가입자 이셨던 분 및 사망일 5년 전부터 사망일까지의 기간 중 3년 이상 연금보험료를 낸 가입자나 가입자 이셨던 분은 사망일이 타공적 연금 가입기간이나 내국인의 국외이주 또는 국적상 실 기간 및 외국인의 국외거주기간 중에 있는 경우는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조건에 충족했고 유족의 대상에 해당하는 가족이 있다면 유족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만약에 유족의 대상에 해당하는 가족이 없다면 사망일시금으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유족연금 지급순위는 아래 참고 바랍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지급순위
✔ 유족이란 사망자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가족을 말합니다.
지급 순위 | 가 족 | 지급 조건 |
1 | 배우자 | 배우자(사실혼 배우자 포함) |
2 | 자녀 | 25세 미만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
3 | 부모 | 60세 이상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
4 | 손자녀 | 19세 미만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
5 | 조부모 | 60세 이상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
※ 부모, 조부모의 연령 지급조건은 노령연금의 수급 연령과 같게 지급되므로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1953년 ~ 56년생 61세, 1957년 ~ 60년생 62세, 1961년 ~ 64년생 63세, 1965년 ~ 19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국민연금 유족연금 예상액 모의계산
국민연금 유족연금 사례별 지급내용
사례 1)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받다가 한 명이 사망한 경우 어떻게 되나요?
👉 1) 배우자의 유족연금 전액 수령 또는 본인 노령연금 정지
2) 배우자의 유족연금 30% 수령 + 본인 노령연금 수령
위의 두 가지 1) 금액, 2) 금액을 비교하여 큰 금액으로 지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사례 2) 사망자의 배우자가 국민연금 유족연금을 받게 될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 배우자의 소득 유무와 상관없이 3년 동안 유족연금을 받게 되고 이후에는 월평균소득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유족연금을 지급받지 못하게 되다가 55세부터는 소득에 상관없이 유족연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배우자의 유족연금 지급정지 해제 연령: 1953년 ~ 56년생 56세, 1957년 ~ 60년생 57세, 1961년 ~ 64년생 58세, 1965년 ~ 1968년생 59세, 1969년생 이후 60세)
사례 3) 부모나 자녀같이 같은 순위에 수급권자가 2명 이상인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 유족연금을 균등하게 각각 지급받게 됩니다. 대표자를 선정하면 대표자에게 전액을 지급합니다.
사례 4) 사망자의 25세 미만 자녀, 장애등급 2급 이상이거나 장애등급 2급 이상의 자녀의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 이때는 소득 수준 무관하게 유족연금이 지급됩니다.
국민연금 관리공단 홈페이지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 수령시기)
국민연금에 대해 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언제쯤 받을 수 있을까? 한 번씩 궁금할 때가 있는데요. 이번 기회에 국민연금 수령액 및 수령시기를 알아보고 노년에 부족한 부분은 어떻게 더 준비
how.army10625.com
유족연금의 기대효과
- 국민연금에서 제공하는 유족연금은 사망한 기여자의 유가족의 재정 안정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혜택은 고인의 연금 기여금 일부를 대체하여 생존 배우자와 부양 자녀에게 소득원을 제공합니다.
- 국민연금에서 제공하는 유족 혜택은 미망인, 홀아비 및 부양 자녀의 빈곤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안정적인 수입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혜택은 가족이 재정적 어려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생활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은 부모를 잃은 부양 자녀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혜택은 교육비, 의료비 및 기타 필수 요구 사항을 충당하여 어린이의 복지와 발달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은 과부와 홀아비에게 동등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양성평등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제도는 남성과 여성 모두 주요 소득자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성별에 관계없이 생존 배우자가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은 유족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전반적인 사회복지 및 복지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혜택은 안전망을 제공하여 어려운 시기에 재정적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고 개인이 자신의 삶을 재건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한 심각한 혼란을 방지하여 가족과 지역사회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안정성은 지역 사회의 지원과 결속력을 키웁니다.
- 국민연금에서 제공하는 유족 혜택은 아동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양 자녀를 위한 재정적 지원을 보장하면 교육, 의료 및 기타 자원에 대한 접근을 확보하여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국민연금의 유족연금 인구 고령화와 기대수명 증가를 고려할 때 연금제도에 재정적인 어려움을 안겨줍니다. 연금 제도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연금 제도의 지속적인 평가와 조정이 필요합니다.
'정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건 (0) | 2023.08.15 |
---|---|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0) | 2023.08.06 |
국민연금 수령나이 (0) | 2023.08.02 |
에너지 캐시백 신청 (1) | 2023.07.21 |
공무원연금 수령시기 (0) | 2023.07.18 |